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음력 5월 5일 우리의 전통 명절 단오 알아보기

by 찔뚝이 2021. 6. 11.

음력 5월 5일인 단오는 우리나라의 4대 명절 중 하나로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의 제사를 올리는 날을 말합니다. 예전 우리 조상들이 농사를 짓던 시절에 가정과 마을단위로 제사를 행하고 민속놀이를 함께 즐기며 풍년을 기원하던 것이, 현재 우리나라의 명절로 여겨지게 되었습니다. 

 

단옷날의 민속놀이와 풍습

 

단오에는 단오만의 특별한 민속놀이와 풍습이 있습니다. 여러 가지 행위를 하며 단옷날을 즐겁게 보냈는데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창포물에 머리를 감습니다. 창포란 독특한 향기가 나는 풀로, 뿌리는 약으로 쓰이기도 할 만큼 귀한 풀입니다. 창포에 머리를 감으면 머리카락도 잘 안 빠지고 나쁜 귀신을 몰아낼 수 있다고 믿어 단오가 되면 창포물에 머리를 감았다고 합니다.
  2. 마을에 있는 커다란 나뭇가지에 동아줄을 걸고 아래쪽에 받침을 대어 만든 그네를 타는 풍습이 있습니다. 현대에 놀이터 등에서 볼 수 있는 그네 등과는 조금 다른 모습의 그네로 보통 그네 위에 서서 동아줄을 잡고 몸을 앞뒤로 흔들며 놀이를 즐깁니다.
  3. 모래밭이나 잔디밭에서 씨름을 했습니다. 허리에 감은 샅바를 붙잡고 먼저 상대방의 등을 닿게하는쪽이 승리하는 우리나라 전통 놀이입니다. 농사를 주로 지으며 생활하던 시절에는 노동력인 힘이 중요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놀이로 힘의 우위를 가리고 우승자에게는 농사에 큰 도움이 되는 소를 상품으로 주었다고 합니다.
  4. 단오부채를 선물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궁궐에서 임금이 신하들에게 단오부채를 부채를 나누어 주었는데, 이는 여름을 시원하게 보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5. 단오제라는 제사를 올리며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며 산신령과 수호신들에게 제사를 지냈습니다.

단오의 음식

 

 명절과 축제에는 맛있는 음식이 빠질수 없습니다. 단옷날에는 어떤 음식을 먹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수루 취떡은 쑥덕과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산나물의 왕으로 불리는 수리취로 만들었기 때문에 아주 풍부한 영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앵두화채는 6월 제철과일인 앵두를 꿀에 재워두었다가 오미자 국물에 넣고 저어서 마셨다고 합니다. 피로 해소에 좋고 당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무더위에 지친 기력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합니다.
  3. 오매육, 백단향, 초과, 사인 등으로 만든 청량음료인 제호탕도 있습니다. 내의원에서 만들어 임금님께 올리면 단오선과 함께 신하들에게 함께 하사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4. 창포주 또한 단오음식입니다. 이 술을 꾸준히 마시면 수많은 병들을 고칠 수 있다고 하여 하루에 한잔씩 세 번 마시면 건강해지며 몸속의 독을 풀어준다고 합니다.

 

 

 

강릉단오제

 

 단오의 풍습과 움식들을 아직까지도 즐길 수 있도록 개최하는 행사입니다. 단옷날 전후로 펼쳐지는 강릉지방의 향토 제례의식으로 음력 5월 3일부터 5월 7일까지 아침마다 강릉 지역사회와 국가의 안녕을 바라는 제사를 올리고 같은 의미의 단오굿이 종일 이어집니다. 놀이마당에서는 신나는 놀이가 날마다 펼쳐지고 체험관에서는 단오민속과 풍속을 체험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강릉단오제는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한국의 오랜 축제로 유교적 엄격한 제사 방식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굿과 관노가면극 등 흥겨운 놀이판이 함께 어우러지는 국내 유일의 종합적 축제입니다.
  • 강릉 단오제는 놀이판을 통해 서로 이해하고 화목하여야 한다는 삶의 지혜를 물려줍니다.
  • 고대의 종합예술적 공연문화를 계승하여 문화예술적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는 축제입니다.
  • 1967년 1월 16일 중요 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 11월 25일 에는 유네스코 세계 무형유산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단오장사 씨름대회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 문화센터에서는 단오를 맞아 단오장사 씨름대회를 개최합니다. 6월10일부터 6월 15일까지 진행되며 예선에서 준결승전까지는 3판 2 선제, 장사를 결정하는 결승전은 5판 3선 승제로 진행이 됩니다. 공중파 TV에서도 중계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통놀이인 씨름을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기회이니 여유가 된다면 즐겨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